스프링컨테이너 부분은 의존성을 관리하기 위해 알아보았는데 많이 어려운 부분이기도 해서 여러번 복습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..
이번 공부에대해서 배웠던점은
1. 좋은 코드가 왜 중요한지 이해하고, 원래 있던 Controller코드를 보다 좋은 코드로 리팩토링한다.
2. 스프링 컨테이너와 스프링 빈이 무엇인지 이해한다.
3. 스프링 컨테이너가 왜 필요한지, 좋은 코드와 어떻게 연관이 있는지 이해한다.
4. 스프링 빈을 다루는 여러 방법을 이해한다.
위처럼 작성 후에도 추가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.
다음 시간부터는 어떤부분을 어떻게 개선할지 그리고 그 개선에 필요한 방법과 지식을 배워 보겠다.
'기록해보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유저 테이블에 대응되는 Entity Class만들기 (0) | 2023.06.11 |
---|---|
문자열 SQL을 직접 사용하는 것이 너무 어렵다!! (0) | 2023.06.11 |
스프링 컨테이너를 다루는 방법 (0) | 2023.06.07 |
스프링 컨테이너를 왜 사용할까? (0) | 2023.06.06 |
UserController와 스프링 컨테이너 (0) | 2023.06.05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