프로젝트를 시작하면 src / main / java 등이 있는데 여기를 쭉 타고 들어가면
LibraryAppApplication이 있는데 그안에 있는 코드를 한줄한줄 읽어보겠다.
package com.group.libraryapp;
import org.springframework.boot.SpringApplication;
import org.springframework.boot.autoconfigure.SpringBootApplication;
@SpringBootApplication
public class LibraryAppApplicatio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pringApplication.run(LibraryAppApplication.class, args);
}
}
@SpringBootApplication
가장먼저 이 코드는 자바의 문법으로 어노테이션이라는 코드인데 @이로 시작하며 어노테이션으로 만든 클래스의 이름이 들어가게 된다.
기본적으로 모든 코드는 한줄한줄 의미가 있다.
자바에서는 어노테이션마다 다른 의미가 있는데 여기서 위에 코드는 @SpringBootApplication
스프링들이 실행시키는 다양한 설정들을 모두 자동으로 도와준다.
public class LibraryAppApplication {
는 클래스이름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pringApplication.run(LibraryAppApplication.class, args);
}
SpringApplication.run(LibraryAppApplication.class, args);
}
main 메소드인static 메소드인데
실제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한다는 의미이다.
실행버튼을 누르면 이렇게 서버가 실행이 된다.
서버란 무엇인가?
Server = Serve + er(~하는사람)
무언가를 제공하는 사람이라는 의미인데 이때 Server 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
예를 들면 회원가입기능/ 정보가져오기 기능/추천기능 등등
이 때 포인트는 기능을 제공하는 '것'
사람 대신 컴퓨터가 이런 기능을 수행해준다.
즉 어떠한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있는 컴퓨터를 말하며 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누군가의 요청이 있어야 한다.
우리는 보통 인터넷을 통해서 이런 요청을 한다.
'기록해보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OST API를 개발하고 테스트하기 (0) | 2023.05.28 |
---|---|
GET API 개발하고 테스트 (0) | 2023.05.28 |
네트워크란 무엇인가? (0) | 2023.05.28 |
새로운 프로젝트 시작해보기 (0) | 2023.05.27 |
처음으로 API 만들기 목표 (0) | 2023.05.27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