먼저 https://start.spring.io 에 접속해
여기서 스프링 프로젝트를 시작해볼것이다.
하나하나 알아보자면
먼저Project
Gradle Project 와 Maven Project 는 빌드 툴이다
여기서 나는 Gradle Project를 사용할 것이다.
사용할 언어는 Java를 사용할 것이고
아래 Spring Boot는 스프링의 버전인데 뒤에 알파벳이 붙은건 개발중이거나 오픈베타라는 의미인데
이 버전에서 가장 앞에 숫자는 메이저 숫자 중간 숫자는 몇달에 한번 마지막 숫자는 비교적빠른주기내에 버그나 간단한 기능이 추가될때 숫자가 바뀐다
이 중에서 나는 2.7.12버전을 사용해볼 것이다.
Group : 프로젝트 그룹
Artifact : 최종 결과물의 이름
Name : 프로젝트 이름
Description : 프로젝트 설명
Package name : 패키지 이름
이런 의미이다 여기서 나는 도서관련 웹앱을 만들 예정이라
이렇게 설정해주고 자바는 자바11을 이용할 것이다.
기존에 존재하는 프로젝트는 Java11이 가장 많고 그 다음은 Java8이 가장 많다.
최신 프로젝트는 최신 Java버전을 사용할 수 있다.
여기는 의존성을 설정할수 있는 곳으로 의존성이란,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라이브러리/프레임워크를 의미한다.
라이브러리란 프로그래밍을 개발할 때 미리 만들어져 있는 기능을 가져다 사용하는 것
프레임워크란 프로그래밍을 개발할 때 미리 만들어져 있는 구조에 코드를 가져다 끼워 넣는 것
이번엔 의존성 설정을 하지 않고 사용해보겠다
GENERATE를 눌러 만들면
이렇게 압축 폴더를 다운 받을 수 있는데
이렇게 압출을 풀어주고..
open을 눌러 열어주면 된다!
아래의 Gradle이 다운로드 되면서 다운이 끝나면
이렇게 LibraryAppApplication이라는 class가 생성이된다.
이렇게 하면 프로젝트를 만들 수 있는 환경 준비는 끝났다!
'기록해보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OST API를 개발하고 테스트하기 (0) | 2023.05.28 |
---|---|
GET API 개발하고 테스트 (0) | 2023.05.28 |
네트워크란 무엇인가? (0) | 2023.05.28 |
@SpringBootApplication 과 서버 (0) | 2023.05.27 |
처음으로 API 만들기 목표 (0) | 2023.05.27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