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라클에서 쓰이는 명령어
지금 수업과정에서는 툴을 사용하지 않아 명령 프롬프트에서 직접 명령어를 쳐서 사용하는데 이것을 정리해 보았다.
- 생성된 계정 조회 방법 : SELECT USERNAME FROM all_user;
- 생성된 계정 삭제 방법 : drop user 계정명 cascade;
- 계정을 만들 때 : CREAT USER 계정명 IDENTIFIED BY 비밀번호;
- 생성된 계정에 권한 부여 : GRANT RESOURCE, CONNECT TO 부여받을 계정;
- 명령 프롬프트에서 계정으로 로그인 방법 : SQLPLUS 계정명/비밀번호
- 로그인 상태에서 계정 전환 방법 : CONN 접속할계정/비밀번호
- 접속중인 계정 확인 방법 : SHOW USER
- 로그인 후 입력, 출력했던 모든 내용을 .txt파일로 기록하는 방법 : SPOOL "저장할 텍스트파일이름".txt
- 프라이머리키(시퀀스)를 이용하는 테이블 생성방법 :
예제 => CREATE TABLE 테이블명(num NUMBER PRIMARY KEY, name varchar2(40), birth DATE);
*PRIMARY KEY란?
NOT NULL + UNIQUE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키. 즉 반드시 값을 넣어야하면서 유일해야 하는 키인데
중복된 아이디나 닉네임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한다. - 정렬하지 않고 테이블 조회하기 : SELECT (컬럼1, 컬럼2, 컬럼3....) FROM 테이블명;
- 지정 칼럼의 사이즈 조절하기 : COLUMN 칼럼명 FORMAT An 여기서 n은 숫자를 넣어 주면 된다.
- 작업중인 데이터를 저장하고 싶으면 : COMMIT;
- 작업중인 데이터를 롤백하고 싶으면 : ROLLBACK;
-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여 조회하고싶다 :
SELECT (컬럼명) FROM 테이블명 ORDER BY 정렬하고 싶은 컬렴명 DESC; -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조회하고싶다 :
SELECT (컬럼명) FROM 테이블명 ORDER BY 정렬하고 싶은 컬렴명 ASC; - 저장된 모든 로우를 삭제하는 방법 : DELETE FROM 테이블명;
- 시퀀스를 만드는 명령어 : CREATE SEQUENCE 시퀀스명_SEQ;
- 시퀀스를 이용해 입력하는 방법 (시퀀스를 NUMBER값으로 잡았을 경우) :
INSERT INTO 테이블명(NUM칼럼1, 칼럼2, 칼럼3) VALUES (시퀀스명_ SEQ.NEXTVAL, 밸류값, 밸류값); - 생성된로우값을 수정하고 싶을 때 :
UPDATE 테이블명 SET 칼럼명=밸류값(변경하고 싶은 값) WHERE 칼럼값 = 변경에 해당하는 로우; - 두가지 이상 값을 수정하고 싶을 때 :
UPDATE 테이블명 SET 칼럼명=밸류값(변경하고 싶은 값), 칼럼명=밸류값(변경하고 싶은 값) WHERE 칼럼값= 변경에 해당하는 로우;
크게 나타내면 이정도가 있다. 물론 더있겠지만 여기까지만 배웠으므로...
'Databas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ORACLE 의 JOIN문 INNER JOIN(내부조인) (0) | 2023.04.20 |
---|---|
ORACLE을 이용한 두 개의 테이블 JOIN (0) | 2023.04.20 |
ORACLE 사용자 계정 생성 및 권한 부여 (0) | 2023.04.19 |
ORACLE 설치먼저 하자! (0) | 2023.04.19 |
나의 첫 DB ORACLE (0) | 2023.04.18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