먼저 JSP란 동적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Java언어를 기반으로 한 서버측 스크립트 기술이다. JSP는 HTML코드에 Java코드를 삽입하여 동적으로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게 해준다.
그리고 Servlet(이하 서블릿)
서블릿은 웹 서버에서 실행되는 Java클래스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응답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. 서블릿은 주로 JSP와 함께 사용되어 웹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데 활용된다.
이를 가지고 게시판을 만드는 원리를 알아 보자면 다음과 같은 단계를 따를 수 있다.
- 데이터베이스 설계
게시판에 필요한 데이터(게시물 제목, 작성자, 내용 등)를 저장할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한다. 일반적으로 RDBMS(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)을 사용한다. - 모델 클래스 작성
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Java클래스를 작성한다. 예를 들어, 게시물을 나타내는 Board 모델 클래스를 만들 수 있다. 이 클래스는 데이터베이스와의 상호작용을 담당하며, 게시물을 생성, 조회, 수정 삭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. - JSP작성
사용자에게 보여질 웹 페이지를 작성하는 JSP파일을 생성한다. 게시물 목록을 보여주는 페이지. 게시물 작성 페이지, 게시물 상세 페이지등이 있을 수 있다. JSP에서는 필요한 서블릿 클래스를 import하고, Java코드를 사용하여 동적인 내용을 생성한다. - 서블릿작성
JSP와 모델 클래스 간의 상호작용을 관리하는 서블릿 클래스를 작성한다. 이 서블릿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 해당 요청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 후, JSP로 응답을 전달한다. 예를 들어, 게시물 목록을 조회하는 요청에 대한 서블릿이 필요하다. - 웹 서버 설정
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웹 서버에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설정한다. 이 때 서블릿과 JSP파일의 위치를 설정하고, 요청 URL과 서블릿 간의 매핑을 설정해야한다. - 웹 브라우저엣 게시판 확인
웹 서버에 배포된 웹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게시판을 확인할 수 있다. 게시물 목록을 조회하거나 새로운 게시물을 작성하고 상세 내용을 확인하는 등의 기능을 사용할 수있다.
이러한 과정을 통해 JSP와 서블릿을 이용하여 게시판을 만들 수 있다.
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AVA JSP (0) | 2023.05.30 |
---|---|
JAVA RequestDispatcher (0) | 2023.05.26 |
JAVA Servlet (0) | 2023.05.20 |
JAVA Super (0) | 2023.05.17 |
JAVA DTO (0) | 2023.05.15 |
댓글